if(재능이 없으면 시간으로 극복하라){return 성공;}

  • React 05 - State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까?

    state란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props 같은 경우는 부모 컴포넌트가 넘겨 주는 값을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개발을 하는데에 있어서 값은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다. props의 값을 바꾸려면 그 때 마다 부모의 컴포넌트의 넘겨주는 속성을 바꿔야 하는데 이건 실질적으로 값이 바뀔 때마다 재배포를 해야한다는 의미로도...

  • React 04 - 컴포넌트를 알아보자

    예전에 다른 리액트 책을 공부할 때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공부했었는데 어느덧 반년을 아예 공부하지 않고 생각을 안하다보니 어느덧 머릿속에서 기억이 나질 않는다. 컴포넌트는 정확히 무엇이고, 함수형 컴포넌트(Functional Component)와 클래스형 컴포넌트(Class Component)가 무엇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컴포넌트가 뭐에요? 쉽게 말하면 리액트를 이루는 최소 단위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말하면...

  • React 03 - JSX를 알아보자

    이전 포스팅에서 React Project를 생성하고 띄워보았다. React Project는 JSX문법으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그렇다면 JSX란 무엇일까? App.js 파일을 열어보면 자바스크립트의 function에서 html 문서와 비슷하게 구성하여 반환하고 있다. JSX란 자바스크립트의 확장 문법이다. 위와 같은 문법으로 번들링되는 과정에서 바벨을 사용하여 일반 자바스크립트 형태의 코드로 변환된다. function App() { return ( <div> <h1>TEST</h1> </div> )...